PE PIPE는 수도용, 농업용, 레저산업용, 공업용, 전선배관용, 오폐수 처리용, 해수용, 광산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폴리에틸렌은 산, 알카리, 염분 등에 부식되지 않으며 해조류나 박테리아 등의 세균류가 번식되지 않는다.
중량이 가벼워 운반과 취급이 간편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PE PIPE는 재질 자체에 철분이나 기타 쉽게 유출되어 나오는 물질이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순도가 유지되며 물의 맛을 변질 시키지 않으므로 식수 공급관으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나사조임식 또는 열융착공법을 사용하므로 신속하고 완벽한 배관을 할 수 있다.
해수, 습지 및 어떤 전류에도 부식되거나 전식되지 않는다
PE PIPE는 내벽이 매끈하여 유체들의 손실수두를 최소화 시키며 관의 막힘현상 등을 방지하여 준다.
재질의 특성상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
각이 작은 굴곡부분에 곡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유지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영하 80℃까지는 물성변화가 없으며 절대 동파되지 않는다.
탁월한 내마모성을 지니고 있어 광산 등지에서의 Slurry 이송배관 및 준설라인 등의 용도로 적합하다.
자재비가 저렴하며 하자보수 비용 등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물성 (Property) |
시험방법 (Testing Method) |
단위 (Unit) |
시험치 (PE 80) |
시험치 (PE 100) |
---|---|---|---|---|
밀도 Density | ASTM D1505 | g/cm2 | 0.942 | 0.948 |
융융지수 Melt Index | ASTM D1238(190℃ 2.16kg) | g/10min | 0.11 | 0.08 |
파단신율 Elongation Break | ASTM D638 | % | >600 | >600 |
충격강도 Impact Strength IZOD | ASTM D256(23℃) | kg/cm2 | N.B. | N.B. |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 ASTM D638 | kg/cm2 | 230 | 250 |
표면경도 Hardness | ASTM D785 | R-scale | 55 | 40 |
연화온도 Softening Point | ASTM D1505 | ℃ | 123 | 126 |
융점 Melting Point | ASTM D2117 | ℃ | 123 | 133 |
취하온도 Brittleness Temperature | ASTM D746 | ℃ | <-80 | <-70 |
사용한계온도 Using Limited Temperature | – | ℃ | -60 ~ 60 | -60 ~ 60 |
환경응력균열 ESCR (F50) | ASTM D1693 | Hr | >2,000 | >3,000 |
최소요구강도 (Mpa) | ISO/TR9080 | Mpa | 8.0 | 10.0 |
※ 상기 물성치는 대표치이며 규격치는 아님
약품명 (Chemical) |
농도 (%) |
20℃ | 60℃ |
---|---|---|---|
염산 Hydrochloric Acid | 95% | ● | ● |
황산 Sulfuric Acid | 50% | ● | ● |
60% | ● | ● | |
70% | ● | ● | |
95% | ○ | × | |
질산 Nitric Acid | 25% | ● | ● |
50% | ○ | × | |
70% | ○ | × | |
인산 Phosphoric Acid | 50% | ● | ● |
75% | ● | ● | |
90% | ● | ○ | |
95% | ● | × | |
불산 Fluoric Acid | 60% | ● | ● |
100% | ● | ○ | |
붕산 Boric Acid | – | ● | ● |
크롬산 Chromic Acid | 10% | ● | ● |
수산화칼륨 Calcium Hydroxide | 10% | ● | ● |
수산화나트륨 Sodium Hydroxide | 40% | ● | ● |
수산화칼륨 Potassium Hydroxide | 50% | ● | ● |
탄산나트륨 Sodium Cabonate | 10% | ● | ● |
질산은수용액 Silver Nitrate(liquid) | – | ● | ● |
황산동수용액 Copper ulfate(liquid) | – | ● | ● |
암모니아수 Ammonium(liquid) | 100% | ● | ● |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 30% | ● | ● |
90% | ● | ● | |
취소 Bromine | 100% | × | × |
해수 Seawater | – | ● | ● |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 100% | ○ | × |
메틸알콜 Methyl Alcohol | 100% | ● | ● |
휘발유 Gasoline | – | ○ | × |
※ PE관의 내화학성 근거는 ISO/TR 10358에 따름.
● 사용적합 ○ 제한적사용 × 사용부적합